나의 공부1305 오월동주(吳越同舟) 우리 집에는 중학교 2학년인 딸과 초등학교 6학년인 아들이 있습니다. 이 둘은 친한 듯 하면서도 친하지 않은 듯 합니다. 눈만 마주치면 치열한 전쟁이 시작됩니다. 서로 자기 침대에 올라가지 말라고 경고하며 말싸움 시작합니다. 거기서 시작해서 서로 자기가 공부 더 잘한다고 자랑하며 싸우고 케케묵은 옛날 일을 들먹이며 싸웁니다. 그러다가 시간이 좀 지나면, 또 붙어서 서로 가수들에 대해 이야기하고 노래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하루에 15분 허용된 게임 시간에는, 서로 무슨 게임을 하는지 보기도 하고 같이 게임을 하기도 합니다. 조언도 합니다. 마치 '오월동주(吳越同舟)'의 상황이 벌어진 것이지요. '오월동주'란, 오나라 사람과 월나라 사람이 같은 배를 탔다는 뜻입니다. 오(吳)의 합려(闔閭)와 越(월)의 윤상.. 2020. 3. 26. 덕재인선(德在人先) 오늘 묵상한 말씀은 마가복음 10장 17절 - 31절이었습니다. 이 말씀의 핵심은, 한 부자가 영생에 대한 질문을 예수님께 하였고, 예수님은 재산을 가난한 자들에게 나누어 주고 따르라고 하셨습니다. 예수님의 말씀에 부자는 고민하고 돌아갑니다. 예수님은 영생을 위하여 나누라는 말씀입니다. 나누면 사람들이 주변에 모입니다. 물론 여러 종류의 사람들이 모이겠지만, 그 중에는 진실한 이들도 있을 것입니다. 대가를 기대하지 않고 나눌 때, 결코 외롭지 않을 것입니다. 그래서 "덕이 있는 사람은 외롭지 않으며 반드시 이웃이 있다"라는 뜻의 '덕불고 필유린'(德不孤 必有隣)이라고 논어에도 언급되어 있습니다. 사람의 삶에서, 더불어 사는 삶에서 덕(德)이라는 것은 나 자신을 위해서, 그리고 함께 사는 사람들을 위해서도.. 2020. 3. 25. 고군분투(孤軍奮鬪) 고군분투(孤軍奮鬪) '개천에서 용 난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어려운 형편 가운데에도 최선을 다하면 반드시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라는 뜻입니다. 든든한 지원군이나 흔히 말하는 뒷배경이 없이도 홀로 성공한 경우에 일컫는 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요즘은 공부하는 일도, 직장에 취업하는 일도, 승진하는 일도 뒷배경이 있으면 훨씬 수월하게 성공할 수 있습니다. 반대로 뒷배경이 없는 소위 말하는 흙수저는 아마도 고군분투(孤軍奮鬪, fighting alone)를 해도 성공을 이루길 어렵습니다. 소설 삼국지에 보면, 유비의 맹장 조운이 홀로 조조의 진지에서 유비의 아들 아두를 품에 안고 싸우는 장면을 조조가 바라보며 옆에 있던 부하에게 물었습니다. "우리 진영에서 고군분투하는 저 장수는 누구인가?" 온통 조조.. 2020. 3. 24. 65 유다서(JUDE) 65 유다서(JUDE) I. 이 책의 저자 - 유다, 예수님의 이복형제 유다라는 이름은 신약 성경 시대에는 흔하고 일반적인 이름이었다. 신약 성경에는 이 이름을 가진 6명이 등장한다. 12사도들 중에 두 사람도 이름이 유다였다. (1) 가룟인 유다 (2) 야고보의 동생 그렇다면 유다서의 저자인 유다는 누구일까? 전승과 유다서 내부의 증거들 모두가 주의 이복동생인 유다가 유다서의 저자라고 말한다. 다섯 가지 면에서 증명할 수 있는데, (1) 그는 주의 이복동생이라고 마 13:55에서 말하고 있으며 (2) 그는 야고보의 형제이자 예루살렘 교회의 목회자라고 같은 구절과 유 1:1에서 언급하고 있으며 (3) 그와 그의 형제들은 주의 죽으심 전에는 구원 받지 못했다고 요 7:5에서 기록하고 있고 (4) 그는 사도.. 2020. 3. 24. 각자도생(各自圖生) 요즘과 같은 '사회적 거리 두기'가 실천되는 시대에는, "각자도생"만큼 중요한 고사성어가 없을 것 같습니다. 환란이나 어려움, 전쟁의 시기에 주로 쓰일 법한 이 고사성어는, 조선왕조실록에 여러 번 등장하며 임진왜란과 정묘호란과 같은 전쟁을 겪던 시대에 주로 나타납니다. 특히 1594년 임진왜란 당시, 왜군에 의해 백성들의 목숨이 위급할 수 있으니 "각자 살 길을 찾을 수 있도록" 알리라는 기록이 선조실록에 나옵니다. 여기에 나타난 "각자 살 길을 찾을 수 있도록"이 바로 각자도생입니다. 전쟁의 난리 속에서 중앙 정부가 어떻게 해 줄 방법이 없으니, 각자가 알아서 살아갈 길을 찾으라는 의미일 것입니다. 물론 지금 현재의 정부를 말하는 것은 아닙니다. 선조를 중심으로 한 당시의 조정대신을 말하는 것입니다. .. 2020. 3. 23. 64 요한3서 요한2서를 금방 읽고 요한3서로 넘어갔습니다. 어제까지 요한계시록 10장 정도를 읽었는데, 정리는 이제서야 합니다. ^^ 요한3서를 통해 나타난 가이오라는 인물은, 요한에게는 든든한 동역자요 교회를 버티게 하는 기초가 되었던 인물이었던 것 같습니다. 그의 흔들리지 않는 믿음과 확신이 나에게도 있기를 소망합니다. I. 이 책의 저자 보수적인 학자들은 사도 요한이 요한복음과 요한1서, 요한2서, 요한3서, 그리고 요한계시록을 썼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결론에 대해 이 책의 내적인 증거들과 외부적인 증거들이 뒷받침하고 있다. II. 이 책의 수신자 이 편지는 "사랑 받는 가이오(Gaius)"에게 보내졌다. 그리고 그는 아마도 요한2서의 수신자였던 지역교회의 구성원이었을 것이다. III. 이 책을 쓴 장소와 연대.. 2020. 3. 23. 03 문장으로 익히는 현대 히브리어 עברית מודרנית [이브릿 모데르닛] / 현대 히브리어 / Modern Hebrew 1. 인칭 대명사(כִּנּוּי גּוּף / [키누이 구프] personal pronoun) '우리, אנחנו' [아나흐누]의 '흐(ח)의 발음은, 후음으로 목에서 긁는 듯한 소리가 난다. 2. 단어(מִלָּה / [밀라] word) 안녕2 : 만났을 때, 헤어졌을 때 모두 사용할 수 있다. 3. 본문의 해석 아하론 : 안녕. 다비드 : 안녕, 네가 아하론 레비이니? 아하론 : 아니, 난 아하론 고넨이야. 다비드 : 너는 동물학을 공부하고 있니? 아하론 : 아니, 나는 수학을 공부하고 있어. 그런 너는? 다비드 : 나는 선생님이야. 너는 이스라엘에서 왔어? 아하론 : 아니, 나는 대한민국에서 왔어. 그런 너.. 2020. 3. 22. 가정맹어호(苛政猛於虎) [뜻] 가혹한 정치는 호랑이보다도 더 사납다 [유래] 춘추 시대(春秋時代) 말엽, 공자(孔子:B.C 551~479)의 고국인 노(魯)나라에서는 조정의 실세(實勢)인 대부(大夫) 계손씨(季孫氏)의 가렴 주구(苛斂誅求)로 백성들이 몹시 시달리고 있었다. 어느 날, 공자가 수레를 타고 제자들과 태산(泰山) 기슭을 지나가고 있을 때 부인의 애절한 울음소리가 들려 왔다. 일행이 발길을 멈추고 살펴보니 길가의 풀숲에 무덤 셋이 보였고, 부인은 그 앞에서 울고 있었다. 자비심이 많은 공자는 제자인 자로(子路)에게 그 연유를 알아보라고 했다. 자로가 부인에게 다가가서 물었다. “부인, 어인 일로 그렇듯 슬피 우십니까?” 부인은 깜짝 놀라 고개를 들더니 이윽고 이렇게 대답했다. “여기는 아주 무서운 곳이랍니다. 수년 전.. 2020. 3. 20. 판넨베르크 조직신학 - 제1장 - 1. 신학 제1장 조직 신학의 주제인 그리스도교 교리의 진리 문제 1. 신학 주후 2세기에는, 신학자는 신의 영감을 받아 신적 진리를 선포하는 자이며 신학은 그 신학자가 선포한 내용을 의미하였다. 하나님께서 주시는 계시를 통해 하나님 인식이 가능하다는 것은 신학의 근본조건이다. 즉, 신학 자체가 하나님의 계시를 통해서 인식할 수 있다. 하지만 그리스도인만이 신학적인 인식을 할 수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케커만(B. Keckermann) : 신학이란, 축복을 목표로 하는 인간의 실천적 학문일 뿐, 더이상 하나님에 대한 사유나 신적 계시가 아니다라고 주장하였다. 이 의미는 신학의 중심은 인간이라는 의미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하지만 하나님이 인식될 수 있는 것은 오직 하나님이 자기 자신을 인간이 깨닫도록 허락하실 .. 2020. 3. 19. 63 요한2서(SECOND JOHN) 가족과 매일 저녁마다 성경을 통독하고 있는데, 어제는 요한2서를 통독하였다. 그래서 요한2서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 I. 이 책의 권위 보수적인 학자들은 사도 요한이 요한1서, 2서, 3서와 요한계시록을 썼다는 주장에 동의한다. 요한은 (1) 사도이며 (2) “사랑의 사도"이며 (3) 핵심적인 세 명의 사도들 중의 한 명이며 (4) “주께 사랑 받았던 제자"이며 (5) 초대 교회의 초창기에 베드로의 가까운 동료였으며 (6) 바울이 죽은 후 아시아 지역에 있던 바울이 세운 교회들의 감독이었으며 (7) 사도들 중에 마지막 사망하였다. II. 이 책의 수신인들 신뢰할 만한 전승에 의하면, 주후 67년의 바울의 죽음 이후 사도 요한은 자신이 죽을 .. 2020. 3. 19. 고사성어(故事成語)란? 옛이야기에서 유래한, 한자로 이루어진 말. 예) ‘와신상담(臥薪嘗膽)’은 중국 오나라와 월나라 왕의 이야기에서 나온 고사성어이다. 발음 : [고ː사성어] 출처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https://stdict.korean.go.kr/main/main.do 2020. 3. 19. 02 현대 히브리어 모음 / Modern Hebrew Vowels / התנועות עברית מודרנית 현대 히브리어의 모음 / The Vowels / התנועות [하-트누옷, ha-tnuot] 2020. 3. 18. 이전 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 1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