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압의 손에 아브넬이 죽은 이후, 사울의 집안의 영향력이 급격하게 쇠락하게 됩니다. 그리고 이스보셋 왕은 측근들에 의해 죽임을 당하게 됩니다. 배신하여 이스보셋을 죽인 두 사람은 다윗에게 찾아 왔고, 다윗은 그들의 악행에 대하여 처형이라는 심판을 하였습니다. 사무엘 하 4장의 구조와 매일성경큐티를 위한 새벽설교주제 그리고 해설을 정리하였습니다.
사무엘 하 4장의 구조 매일성경큐티 새벽설교주제 해설
사무엘 하 4장의 구조
1절-4절, 아브넬의 죽음에 이스보셋이 두려워하다
아브넬이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이스보셋은 두려움에 휩싸이게 됩니다. 왜냐하면, 이스보셋을 보호해야 할 사람들이 급격하게 사라지게 되었기 때문입니다.
5절-8절, 레갑과 바아나가 이스보셋을 배신하다
아브넬과 함께 이스보셋 곁에 있던 레갑과 바아나가 아브넬의 사망 이후에 이스보셋을 배신합니다. 그리고 그들은 이스보셋을 죽이고 그 머리를 다윗에게 가져갑니다. 왜냐하면, 다윗에게 큰 상을 받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9절-12절, 다윗이 레갑과 바아나를 죽이다
이스보셋의 머리를 가져 온 레갑과 바아나를 향하여 다윗이 진노하였습니다. 다윗은 사울을 죽였다고 거짓말한 아말렉 청년을 자신이 죽음으로 다스렸음을 언급하며, 의인의 피를 흘린 악인들을 처단하겠다며 두 사람을 죽입니다.
사무엘 하 4장의 매일성경큐티 새벽설교주제
1절-12절, 어리석은 인생들이 누구입니까
아브넬이 죽었다는 소식을 들은 이스보셋은 두려움을 느끼게 됩니다. 이제 그의 곁에는 레갑과 바아나만 남아 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 두 사람은 이스보셋을 배반합니다. 그들은 이스보셋을 죽이고 다윗에게 이스보셋의 머리를 가지고 갑니다. 자신들에게 다윗이 상을 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이스보셋을 왕으로 세웠던 아브넬이나, 아브넬의 말만 듣고 왕 위에 올랐던 이스보셋이나, 욕심 때문에 자신들의 왕을 죽인 레갑과 바아나는 모두 어리석은 인생들이었습니다. 세상의 권세와 명예만을 쫓아 다니며 신뢰도 믿음도 없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어리석은 모습에서 벗어나 지혜롭게 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주의 말씀을 사모하며 육체의 소욕을 멀리해야만 합니다.
1절-12절, 의인을 죽인 자의 최후는 멸망입니다
다윗은 이스라엘 전체의 왕이 될 수 있는 기회가 바로 눈 앞에 찾아 왔음을 알았습니다. 이제 다윗을 막아 설 사람은 아무도 없기 때문입니다. 지금 왕의 자리에 있는 이스보셋은 아무런 힘이 없는 무기력한 존재일 뿐입니다. 하지만 다윗은 자신이 직접 움직이지 않고 하나님의 때를 기다렸습니다. 다윗이 기다리는 사이에, 이스보셋의 측근이었던 레갑과 바아나가 배반하여 이스보셋을 죽이게 됩니다. 두 사람이 다윗을 찾아 왔을 때, 자신들의 왕을 죽인 두 악한 자들을 처형하게 됩니다. 의인은 하나님의 때를 잠잠히 기다리는 믿음이 있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악인들은 자신들의 생각에 따르며 욕심을 따라 움직입니다. 악인들의 최후는 멸망 밖에 없습니다.
사무엘 하 4장의 해설
1절, 손의 맥이 풀렸고
이 말에 해당하는 히브리어 ‘ירפו ידיו'(이르푸 야다우) 는 ‘손이 약하여졌다’는 의미입니다. 여기에서 ‘약하여졌다’는 동사는 움직일 수 없을 정도로 완전히 힘이 빠진 상태, 곧 쇠진(衰盡)한 상태를 묘사합니다(렘 6:24, 50:43, 겔 21:7). 이와 같은 사실은 이스보셋이 아브넬의 죽음으로 말미암아 얼마나 큰 충격을 받았는가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아마 그는 아브넬의 반역 행각과 비참한 죽음의 소식에 접하고선 이중적 충격을 받았을 것입니다.
4절, 다리 저는 아들 하나가 있었으니
‘므비보셋’의 뜻은 ‘부끄러움을 없애 버리는 자’입니다. 그런데 다른 성경에 보면, 그의 본명은 ‘므립바알’인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대상 8:34, 9:40). ‘므립바알’은 곧 ‘바알로 만족하는 자’란 뜻입니다. 따라서 이같은 이름이 므비보셋으로 바뀌게 된 동기는 아마 에스바알이 이스보셋으로 바뀐 것과 같을 것입니다. 즉 바알 우상 숭배와 관련 ‘바알’이란 이름을 혐오한 유대인들은 자신들의 이름 속에 철저히 ‘바알’이란 말을 배격한 것입니다.
한편, 여기에서 저자가 므비보셋의 신상을 자세히 소개한 이유에 대해선 다음과 같은 두 견해가 있습니다. (1) 단순히 뒤에 벌어질 사건(9장)의 배경을 보여 주기 위해 기록되었다는 견해입니다. 이 견해는 므비보셋의 불구 상태(절뚝발이 상태)가 사울가의 몰락(이스보셋의 죽음)과는 아무 관계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2) 사울가의 완전한 몰락을 보여 주기 위해 기록하였다는 견해입니다. 즉 이스보셋이 죽은 후(5-7절)에 사울가의 유일한 후계자로 므비보셋이 남으나, 그는 절름발이여서 도저히 왕위를 계승할 수 없는 부적격자라는 사실입니다. 따라서 사울가는 실질적으로 완전히 몰락했음을 본 구절이 보여준다는 주장입니다. 우리는 1-4장까지의 문맥이 다윗가의 흥왕과 사울가의 몰락을 다루고 있다는 엄연한 사실에 근거해 볼 때 위 두 견해 중 두 번째 견해가 보다 타당하다고 보아야 할 것입니다.
7절, 아라바 길로 가
아라바 길은 당시 이스보셋의 왕도(王都) 마하나임(2:8)에서 헤브론으로 갈 수 있는 지름길이었습니다. 이곳은 아브넬과 그 군대가 기브온 전투에서 요압과 휴전한 후 마하나임으로 퇴각할 때 거쳐갔던 길이기도 합니다. 그런데 마하나임에서 헤브론까지의 거리는 약 95 km였습니다. 따라서 레갑과 바아나는 밤새도록 쉬지않고 약 20여 시간 동안 시속 5 km 이상의 속력으로 걸어 헤브론에 도착했을 것입니다. 여기서 우리는 악을 향한 악인의 열심에 놀라움을 감출 수 없습니다(롬 3:13-17). 그러나 결과적으로 그들의 이러한 열심은 자신들의 죽음을 재촉하였을 뿐입니다(8-12절).
11절, 악인이 의인을 그의 집 침상 위에서 죽인 것이겠느냐
여기에서 다윗은 신앙적인 차원에서가 아니라 법적인 차원에서 악인과 의인이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즉, 이스보셋은 하나님 앞에서 신앙적으로 볼 때는 죄인일지 모르나, 법적인 차원에서 볼 때는 사울의 왕권을 찬탈하거나 혹은 어느 누구를 죽이려 한 죄인은 아니었습니다. 반면 바아나와 레갑은 법적으로 무고한 이스보셋을 잔인하게 살인한 악인이었습니다. 따라서 그들의 살인 행위는 법적으로 도무지 용서받을 수 없는 분명한 범죄 행위였습니다
참고할 글
- 사무엘 하 5장, 이스라엘의 왕이 된 다윗 - 구조 매일성경큐티 새벽설교 해설
- 사무엘 하 3장, 다윗의 집이 강하여 가더라 - 구조 매일성경큐티 새벽설교주제 해설
- 사무엘 하 2장, 헤브론의 왕이 된 다윗 - 구조 매일성경 새벽설교주제 해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