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
(7) 한반도의 청동기 시대
- 한반도에는 BC 2000년~1500년 경에 청동기가 보급되었다
- 청동기 유물 : 각종 무기와 장신구, 제사용 도구들을 제작 : 지배층들이 사용 : 비파형 동검, 거친무늬 거울
- 청동기 농기구 : 반달 돌칼(추수용 농기구), 바퀴날 도끼이나 홈자귀 등은 돌이나 나무로 만들어 사용
- 토기 : 민무늬 토기, 미송리식 토기, 거친무늬 토기 등을 제작
- 경제 : 조, 보리, 콩, 수수 등을 재배하였으며 남부 지역에서는 벼농사도 시작하였다. 농경과 목축의 발달.
- 사회 : 여분의 식량들이 생기면서 계급 발생 : 청동기 농기구로 인해 농업생산력이 향상되었다
- 족장(군장)은 정복전쟁을 주도하는 지배자로서 제사 및 정치를 담당 : 고인돌은 지배층의 무덤
- 야산이나 구릉지에 거주하며 마을을 형성(공동 노동과 공동 방어를 목적으로)
(8) 청동기 국가, 고조선의 시작
- BC 2333년 만주와 한반도 일대에서 건국(삼국유사 참조)
- 단군 신화 : 홍익인간(널리 인간을 이롭게 한다), 농경사회(풍백, 우사, 운사), 천부인(청동검, 거울, 방울), 선민사상(하늘의 자손인 환웅의 후손)과 토테미즘(곰과 호랑이)
- 단군 왕검 : 단군(몽고어로 '제사장'), 왕검(임금, 정치적 지도자) : 제정일치사회임을 의미
- 비파형 동검과 북방식 고인돌, 미송리식 토기 등의 유물을 토대로, 세력의 범위를 확인할 수 있다
(9) 고조선의 발전
- BC 3~4 세기에 랴오닝 지방과 대동강 유역을 중심으로 발전하여, 요서 지방을 경계로 중국의 연나라와 대립할 정도로 세력이 성장하였음
- 부왕, 준왕 등의 시기에는 왕권이 강력해져 왕위를 세습하였음
- 상부, 대부 등과 같은 관직이 있었음
- 위만 조선 : 중국의 진한 제국의 교체시기에 위만이 무리를 이끌고 고조선에 들어오게 됨 : 준왕은 서쪽 변경 지역의 수비를 맡겼으나, 위만은 세력을 강화시켜 오히려 수도인 왕검성을 공격함 : 준왕을 내쫓고 왕위를 차지하고 위만 조선을 세움(BC 194년) : 고조선의 준왕은 남쪽으로 이동함
- 위만 조선은 중국에서 온 위만이 철기문화를 가지고 왔고, 철기문화로 군사력을 강화하고 영토를 확장하며 농경 문화가 더욱 발달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중계 무역이 활성화되어 중국의 한나와와 한반도 남부 지역 사이에서 교역 담당하였다
- 한군현(한사군) 설치 : 고조선 통치를 위해 중국의 한나라에서 설치한 행정기구
- 고조선의 사회 : 8조법 : 계급사회의 증거, 생명과 사유재산 존중, 노동력 중시, 농경사회 특징이 있음
(10) 철기 문명의 확대
- BC 5세기 경부터 보급되어 BC 1세기 경에는 널리 사용
- 철제 농기구 사용 : 농업 기술의 비약적 발전, 농업 생산력 증가(괭이나 낫과 같은 철제 농기구 사용)
- 철제 무기 사용 : 전투력의 향상으로 인해 정복 전쟁이 증가하기 시작
- 청동기 : 의식용 도구로만 사용됨 : 세형동검, 잔누늬 거울, 거푸집(청동기를 찍어내기 위해 만든 틀)
- 토기 : 민무늬 토기, 덧띠 토기, 검은 간 토기 등
- 무덤 : 널무덤, 독무덤
- 생산량이 증가하면서 많이 가진 자와 적게 가진 자의 계급 차이가 심해지고, 정복 전쟁이 많아지면서 '군장국가'(부족의 대표인 군장을 중심으로 한 국가)나 연맹국가(여러 군장들이 독자적인 국가를 유지하면서 연합하여 세력을 만든 국가)가 형성됨
(11) 한반도 철기 국가들
부여 |
고구려 |
옥저 |
동예 |
삼한 |
만주 송화강 |
압록강 (졸본 - 국내성) |
함경도 동해안 |
강원도 북부 동해안 |
한반도 중남부 (마한, 진한, 변한) |
- 5부족 연맹체 - 마가, 우가, 구가 - 저가는 독자적으로 4출도 통치 |
- 5부족 연맹체 |
- 군장국가 - 연맹왕국의 중간 단계 - 읍군, 삼로와 같은 군장 - 고구려의 지배를 받음 |
- 연맹체 국가 제정분리사회 - 신지, 견지/부례, 읍차 등의 군장과 천군이라는 제사장 - 마한 목지국의 왕이 삼한의 대표 역할 |
|
- 농업(밭농사)과 목축 - 말, 주옥, 모피 |
- 산악지대에 위치하였기에 농토가 부족 : 정복 활동으로 식량을 조달함 |
- 토지가 비옥하였으며 해산물이 풍부함 |
- 방직 기술이 발달하고, 단궁(활), 과하마(말), 반어피(해표피) 등의 특산물이 있었음 |
- 저수지(김제의 벽골제, 밀양의 수산제) 등의 저수지 축조 - 변한은 철을 생산하여 낙랑과 왜에 수출하였고, 철을 화폐처럼 사용 |
- 1책 12법 - 순장과 껴묻거리 - 우제점법 |
-데릴사위제(서옥제) - 점복 |
- 민며느리제 - 가족공동묘 - 목곽 |
- 족외혼, 책화 - 씨족사회유풍 |
- 소도(제정분리) - 반움집, 귀틀집에서 생활 - 두레 |
12월 영고 |
10월 동맹 |
10월 무천 |
5월 수릿날 10월 계절제 |
(12) 기타 사항
- 동예의 책화 : 같은 씨족끼리는 결혼하지 않고 다른 부족의 영역에 침범했을 때 배상하는 풍습
- 반달 돌칼 : 반달 돌칼이라 불리지만, 실제로는 네모 모양이나 빗 모양, 사다리꼴 모양, 세모 모양 등의 여러 형태가 발견된다. 가운데 두 구멍은 끈을 연결하여 묶은 후 손가락을 넣어 식물의 줄기를 끊기 위한 것이다. 청동기 시대에는 활발하게 사용되었기에, 청동기 시대를 대표하는 유물이다. 이후 초기 철기 시대에는 자취를 감추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