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행전 17장 16절-34절, 철학자의 도시 아덴에 선포된 복음
서론
사도행전 17장 16절부터 34절까지의 본문은, 사도 바울이 아덴에서 철학자들과 시민들에게 복음을 전한 사건을 다루고 있습니다. 아덴은 당시 철학과 종교적 사상이 풍부한 도시로, 다양한 신들을 섬기며 지적 토론이 활발했던 곳이었습니다. 바울은 이곳에서 자신이 믿는 하나님에 대해 설명하며, 그들에게 참된 신앙을 전하고자 했습니다. 본문의 사건은 현대를 사는 우리에게도 중요한 교훈을 주며, 다양한 가치관과 사상이 혼재하는 세상 속에서 우리가 어떻게 복음을 전할 수 있는지에 대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오늘 이 설교를 통해 바울의 전도 방법과 그 의미를 함께 살펴보고, 우리 삶 속에서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고민해 보는 시간을 가지려 합니다.
본문의 내용
바울은 아덴에 도착하여 도시 곳곳에 우상들이 가득한 것을 보고 격분합니다. 그는 회당과 시장에서 만난 사람들과 토론하며 복음을 전하기 시작합니다. 에피쿠로스 학파와 스토아 학파 철학자들이 바울의 가르침에 관심을 가지고 그를 아레오바고로 데려갑니다. 아레오바고에서 바울은 "알지 못하는 신에게"라고 적힌 제단을 언급하며, 그들이 알지 못하는 하나님에 대해 전합니다. 바울은 하나님이 우주의 창조주이며, 인간이 만든 신전이나 형상에 거하지 않음을 설명합니다. 그는 또한 하나님께서 모든 인류를 한 혈통으로 만드시고, 그들이 하나님을 찾도록 하셨음을 강조합니다. 바울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증거 하며, 회개와 심판의 날을 언급합니다. 그의 설교에 대해 일부는 비웃었으나, 일부는 믿고 바울을 따르게 됩니다.
본문 속 에 나타난 논쟁점
바울의 설교는 몇 가지 중요한 논쟁점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첫째, 하나님은 인간의 손으로 만든 신전이나 우상에 거하지 않으며, 인간의 필요를 채우는 분이라는 점입니다. 이는 당시 아덴의 다신교와 철학적 사상과 충돌하는 내용이었습니다. 둘째, 모든 인류는 하나님의 자녀이며, 하나님을 찾고자 하는 마음을 가져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는 인류의 보편성과 인종적 평등을 주장하는 것으로, 당시의 민족주의적 사고와 대조됩니다. 셋째,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최후의 심판을 강조한 점입니다. 이는 그리스 철학자들에게 낯선 개념으로, 그들의 이성적 사고와 충돌을 일으켰습니다. 바울의 설교는 단순히 새로운 신을 소개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존재와 구원의 본질에 대한 깊은 성찰을 요구하는 내용이었습니다.
본문이 오늘 우리에게 주는 교훈들
그렇다면, 철학자들의 도시인 아덴에서 선포된 복음의 능력을 보여 주는 오늘 본문이 우리에게 전해 주는 교훈은 무엇입니까?
첫째, 하나님은 우리 가까이에 계십니다.
첫 번째 교훈은 하나님은 모든 인간의 창조주이며, 그분을 찾는 자들에게 가까이 계신다는 것입니다. 바울은 하나님이 인간에게 생명과 호흡을 주시는 분임을 강조하며, 인간이 하나님을 찾도록 만드셨다고 설명합니다. 이는 하나님이 인간에게 가까이 계시며, 우리가 그분을 찾을 수 있다는 희망을 전해 줍니다. 또한, 바울은 하나님이 모든 인류를 한 혈통으로 만드셨음을 언급하며, 인류의 보편적 형제애를 강조합니다. 바울의 이러한 설명은 우리에게 인종, 민족, 문화의 차이를 넘어서는 하나님의 사랑을 깨닫도록 도와줍니다. 현대 사회에서도 우리는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며, 서로를 하나님의 자녀로서 존중하고 사랑해야 합니다. 이는 우리가 하나님을 찾고 그분의 뜻을 따르는 삶을 살아가야 함을 의미합니다.
둘째, 회개와 부활의 중요성
두 번째 교훈은 회개와 부활의 중요성입니다. 바울은 하나님이 모든 사람에게 회개를 명령하시며,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을 통해 그분의 권위를 증명하셨다고 선언합니다. 이는 우리의 신앙이 단순한 도덕적 규범을 넘어, 예수 그리스도의 죽음과 부활을 통해 얻는 구원에 기초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회개는 우리의 죄를 인정하고 하나님께 돌아가는 것을 의미하며, 부활은 우리가 새로운 생명을 얻는 것을 상징합니다. 현대의 우리도 일상 속에서 회개의 삶을 살아가야 하며, 예수님의 부활을 통해 주어진 새 생명을 누려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과거의 죄를 회개하는 것을 넘어, 매일의 삶 속에서 하나님께로 돌아가며, 그분의 뜻을 따르는 변화를 추구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존재를 믿음으로 증명한 다니엘
주제에 맞는 성경 인물로 다니엘을 들 수 있습니다. 다니엘은 바벨론 포로 생활 중에서도 하나님의 뜻을 따르며, 이방인들에게 하나님의 존재를 증거했습니다. 그는 왕의 음식과 술을 거부하며, 하나님께 기도와 예배를 드리는 삶을 살았습니다. 또한, 느부갓네살 왕 앞에서 하나님의 권위를 증거 하며, 왕의 꿈을 해석해 주었습니다. 다니엘의 삶은 바울이 아덴에서 복음을 전한 것과 유사합니다. 그는 이방인들 속에서 하나님의 존재를 증거 하며, 그들을 하나님께로 인도하고자 했습니다. 다니엘의 신앙과 용기는 현대의 우리에게도 큰 교훈을 줍니다. 우리는 다양한 문화와 가치관 속에서도 하나님의 진리를 증거 하며, 그분의 뜻을 따르는 삶을 살아야 합니다.
결론
사도 바울이 아덴에서 전한 복음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중요한 교훈을 줍니다. 다양한 신앙과 철학이 혼재하는 현대 사회에서 우리는 바울의 전도 방식을 통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습니다. 그는 상대방의 문화와 사상을 존중하며, 그들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복음을 전했습니다. 또한, 바울은 하나님이 모든 인류의 창조주이자 유지자이심을 강조하며, 회개와 부활의 중요성을 역설했습니다. 이는 우리가 일상 속에서 하나님의 존재를 증거하며, 그분의 뜻을 따르는 삶을 살아야 함을 가르쳐 줍니다. 우리는 바울의 예를 따라, 다양한 배경을 가진 사람들에게 하나님의 사랑과 구원의 메시지를 전해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종교적 의무를 넘어,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주신 사명임을 기억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