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애굽기 3장 13절-22절
13 모세가 하나님께 아뢰되 내가 이스라엘 자손에게 가서 이르기를 너희의 조상의 하나님이 나를 너희에게 보내셨다 하면 그들이 내게 묻기를 그의 이름이 무엇이냐 하리니 내가 무엇이라고 그들에게 말하리이까
14 하나님이 모세에게 이르시되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니라 또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같이 이르기를 스스로 있는 자가 나를 너희에게 보내셨다 하라
15 하나님이 또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같이 이르기를 너희 조상의 하나님 여호와 곧 아브라함의 하나님, 이삭의 하나님, 야곱의 하나님께서 나를 너희에게 보내셨다 하라 이는 나의 영원한 이름이요 대대로 기억할 나의 칭호니라
16 너는 가서 이스라엘의 장로들을 모으고 그들에게 이르기를 여호와 너희 조상의 하나님 곧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이 내게 나타나 이르시되 내가 너희를 돌보아 너희가 애굽에서 당한 일을 확실히 보았노라
17 내가 말하였거니와 내가 너희를 애굽의 고난 중에서 인도하여 내어 젖과 꿀이 흐르는 땅 곧 가나안 족속, 헷 족속, 아모리 족속, 브리스 족속, 히위 족속, 여부스 족속의 땅으로 올라가게 하리라 하셨다 하면
18 그들이 네 말을 들으리니 너는 그들의 장로들과 함께 애굽 왕에게 이르기를 히브리 사람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우리에게 임하셨은즉 우리가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제사를 드리려 하오니 사흘길쯤 광야로 가도록 허락하소서 하라
19 내가 아노니 강한 손으로 치기 전에는 애굽 왕이 너희가 가도록 허락하지 아니하다가
20 내가 내 손을 들어 애굽 중에 여러 가지 이적으로 그 나라를 친 후에야 그가 너희를 보내리라
21 내가 애굽 사람으로 이 백성에게 은혜를 입히게 할지라 너희가 나갈 때에 빈손으로 가지 아니하리니
22 여인들은 모두 그 이웃 사람과 및 자기 집에 거류하는 여인에게 은 패물과 금 패물과 의복을 구하여 너희의 자녀를 꾸미라 너희는 애굽 사람들의 물품을 취하리라
출애굽기 3장 13절, 하나님의 이름을 알려 주시다
이름은 고대 세계에서 그 이름을 가진 사람의 정체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여겨졌습니다. 그래서 어떤 사람에 대한 이름을 알고 있다는 사실은 곧 그 사람의 정체성을 알고 있으며 아울러 그 사람을 통제할 수 있는 힘이 있다고 생각하였습니다. 따라서 신들의 이름을 조심스럽게 생각하며 그 이름들을 보호하려고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애굽의 태양신인 레(Re)에게는 그의 딸인 이시스(Isis)만이 알고 있는 비밀스러운 이름이 있었다고 전해집니다.
출애굽기 3장 13절-15절, 나는 스스로 있는 자
이스라엘이 섬기는 하나님의 개인적인 이름으로 여겨지는 "야훼"(일반적으로 주(LORD)로 번역되며, 히브리어로는 '아도나이'(אדוני)로 읽음, 15절)는 히브리어의 동사인 '존재한다'(하야 동사, היה)에서 나온 것입니다. 14절에는 하야 동사의 1인칭이 나타나는데, 바로 "스스로 있는 자"(에흐예 아쉐르 에흐예, אהיה אשר אהיה)라는 이름이 그것입니다. 구약 성경 외에도 이스라엘의 하나님을 야훼라고 부르는 고대 문서들이 많이 나타나는데, 메사 비문이나 아랏 도편, 라기스 서신이나 키르벳 엘-콤과 쿤틸랏 아유두르 등의 문서들이 그 예입니다. 또 야훼 외에도 '야'(Yah, יה)라는 이름으로 하나님의 이름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들은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도 '누비아'(Nubia, 오늘날의 수단 지역)에서 주전 2천년대 중반에 쓰여진 것으로 알려진 몇 개의 이집트 비문에 기록된 샤수(Shasu) 땅의 Yhw라는 말이 매우 흥미롭습니다. 샤수란, 누비아 비문에서 세일 지역(신 33:2; 삿 5:4)과 관련이 있는 베두윈을 의미합니다. 아마도 이러한 내용들이 미디안 족속인 이드로가 야훼를 예배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18장). 하지만 창세기 25장 2절-4절에서는 미디안이 아브라함의 후손이었다는 사실을 참조해야만 하며, 이들 역시 이스라엘의 하나님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음을 기억해야만 합니다.
출애굽기 3장 16절-17절, 장로들
본문의 장로들이란, 이스라엘의 각 부족 지도자들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장로는 어떤 마을이나 공동체의 지도자를 감독하는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아마도 백성들은 장로들이 모세를 인정해 줄 때 모세의 지도력을 받아 들이려고 했었을 것입니다.
출애굽기 3장 18절-20절, 히브리 사람의 하나님
"히브리인의 하나님"은 출애굽할 당시에만 쓰였던 이스라엘에 대한 명칭입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외국인들에게 자신들이 히브리 사람들이라고 지ㅊㅇ했기에, 어떤 사람들은 '히브리'(hebrew, עברית)이라는 명칭을 이 당시의 고대 문서들에 기록된 아피루/하피루 등과 연관지어 설명하기도 합니다. 아피루/하피루라는 말은 인종적인 용어가 아니라, 추방된 사람들을 통칭하여 부르는 사회학적인 명칭입니다.
출애굽기 3장 18절, 제사를 드리러 갈 사흘 길
바로에게 모세는 3일 동안 광야로 제사를 드리기 위한 순례를 보내 줄 것을 요청합니다. 가는 길을 하루, 오늘 길을 하루 잡는다면, 하루는 종일토록 하나님께 제사하기 위한 날짜로 3일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바로는 모세의 요청을 거절함으로써, 지금까지 지은 죄와 함께 종교를 탄압하는 죄까지 짓게 됩니다.
출애굽기 3장 19절-20절, 하나님의 전능하신 손
펼친 손이나 팔, 또는 강한 손이나 팔이라는 개념은 애굽의 여러 비문들 중에 바로의 강력한 권세를 나타내기 위해 흔하게 사용되어 온 용어입니다. 하지만 출애굽 이야기 전체에서는, 바로를 향한 하나님의 권세를 나타내는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Matthews, V. H., Chavalas, M. W., & Walton, J. H. (2000). The IVP Bible background commentary: Old Testament (electronic ed., 출 3:13–20). Downers Grove, IL: InterVarsity Press.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