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레아는 "안력이 부족"하거나 "시력이 약한" 여인인 것으로, 혹은 라헬에 비해 미모가 별볼일 없는 여인인 것처럼 추론되어 왔었다. 하지만 레아를 단순히 외모 혹은 시력으로만 평가하기에는 인내와 믿음의 여인이었음을 우리는 성경을 통해 알 수 있다.
여동생과 공유해야 하는 한 남자의 사랑에 목말라 하면서도, 자신의 괴로움과 고통을 하나님께 아들들의 이름으로써 토로하였던 인내와 믿음의 여인! 그녀에 대해 다시 한 번 재해석 해 본다.
이번 논의에서는, 고대 근동에서의 여성들에 대한 일반적인 정의와 함께 "시력이 약한"에서의 "약한"(라크, רך)에 대한 여러 의미들과 성경에서의 용례들을 간단하게 살펴보고, 반대로 라헬의 외모를 평가한 "아름다운"(야페, יפה)에 대한 의미를 다시 확인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레아에 대한 평가로 마무리 할 것이다.
-------------------------
1. 고대 근동 사회에서의 "딸"의 개념 혹은 위치
왼쪽의 그림은, 고대 메소포타미아 법률이 기록된 토판이자 기념비이다. 1
이 토판에서 나타나 있는 바이며, 오늘날의 이라크 지방에 위치했던 도시국가인 '에쉬눈나(Eshnunna)의 법률들에 의하면, 딸로서의 여성들은 자신의 아버지에게 의존해야만 했었으며 아버지의 권리들을 딸들에게 행사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해, 딸들은 아버지의 일종의 소유물로 인식되었다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딸을 결혼 시킬 때, 사위될 남자에게 결혼지참금을 요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좀 냉정히 말하자면, 매매의 의미도 있었다는 것이다.
야곱 역시 라헬을 위해 7년을 일하였는데, 이는 아무 것도 가진 것이 없는 그가 라헬과 결혼하기 위해서는 지참금을 외삼촌 라반에게 제시할 수가 없었기 때문이다(창 29:18). 하지만 야곱은 결국 두 아내를 위해 14년간 일해야만 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었다.
아버지의 품을 떠나 결혼하게 되면, 그 때는 다시 남편의 소유물의 개념을 가지는 것이 아내였던 당시의 상황을 고려한다면, 고대 근동에서의 여성들의 삶의 범위는 매우 제한적이었을 것이지만, 한 편으로는 결혼 전에는 아버지가 모든 생계를 책임져 주며 결혼 후에는 남편이 모든 생계를 책임져 주는 삶을 살았다고도 할 수 있다. 동전의 양면과 같은 삶이 아니었을까?
2. 라반의 딸인 "레아"와 "라헬", 그리고 야곱
그런 의미에서 라반의 딸인 레아와 라헬을 두고, 야곱이 한 눈에 일생의 배우자로 라헬을 선택한 까닭이 무엇이었을까?
다시 처음으로 돌아와서 "레아는 시력이 약하고 라헬은 곱고 아리따웠기" 때문이라는 창 29:17의 구절을 어떻게 해석해야만 할까?
1) 레아는 시력이 약했다?
구약성경에서는 '레아는 시력이 약하고(עיני לאה רכות)'라 하였으나, 실제로 '라크(רך)'라는 단어를 '약하다'는 의미로만 쓰기에는 무리가 있다. 왜냐하면, 이 단어는 그 정의가 불분명한 점도 있으며,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본문을 제외하고, '라크(רך)'가 '약한'(weak)의 의미로 쓰여진 본문은 창 33:13(야곱이 그에게 이르되 내 주도 아시거니와 자식들은 연약하고 내게 있는 양 떼와 소가 새끼를 데리고 있은즉 하루만 지나치게 몰면 모든 떼가 죽으리니)과 신 20:8(책임자들은 또 백성에게 말하여 이르기를 두려워서 마음이 허약한 자가 있느냐 그는 집으로 돌아갈지니 그의 형제들의 마음도 그의 마음과 같이 낙심될까 하노라 하고) 등이 있다.
그 외에는 구약성경에서는 '부드러운'(tender, 창 18:17), '온화한'(gentle, 삼하 3:39), '연한'(soft, 잠 15:1, 욥 40:27), '섬세한'(delicate, 신 28:56, 사 47:1), '어린, 젊은'(young, 대상 22:5, 29:1, 대하 13:7) 등의 의미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2
따라서, 굳이 레아의 눈의 시력이 '약하다'라고만 주장할 수는 없다. 레아의 눈이 '섬세했다', '부드러웠다', '온화했다' 등의 의미로도 충분히 사용할 수 있다.
2) 라헬은 곱고 아리따웠다?
라헬의 외모를 표현한 단어 '야페'(יפה) 역시 단순하게 '아름다운'으로만 해석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어 보인다. 왜냐하면, '야페' 역시 다양한 의미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BDB 사전에 의하면, '아름다운'(beauty)의 의미도 있지만, '공정한'(fair)의 의미도 있다. 공정하다는 의미를 사용한다면, 야페가 꾸며주는 대상에 따라서 적절하게 역할을 감당할 수 있는 상태라는 의미로 볼 수 있기 때문이다. 3
창 39:6(요셉의 용모가 빼어나고 아름다움), 전 3:11(하나님이 모든 것을 지으시되 때를 따라 아름답게 하셨고)와 창 41:2(아름답고 살진 일곱 암소가) 등에 '야페'가 사용되었다. 또한 시 48:2에서는 "예루살렘의 터가 아름답다"라는 표현에도 사용되었다. 4 그리고 TDOT에서는 '아름다운', '적절한'(suitable), '효과적인'(effective), '할 수 있는'(be able), '충분한'(be sufficient) 등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고 소개하고 있다(6권 218면을 보라). 5
따라서, 라헬이 "외모적으로 아름다웠다"는 표현대신, 라헬이 "라반의 딸로서 그 역할을 효과적으로 잘 감당해 내었다"라고도 해석해 볼 수 있다.
3. 레아는 오늘날 기준으로 미인상이 아니었을까?
위의 내용을 토대로, 레아는 오늘날 기준으로 미인이었을 것이라 추측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레아는 첫째 딸로서 다소곳하며 온화한 성품의 여인이었을 것이다. 그녀가 아버지의 소유물로서, 야곱에게 강제로 주어졌을 것이었음에도 원망하는 내용이 성경에 나타나 있지 않다. 게다가 그녀는 야곱에게 노골적으로 사랑을 받지 못하였지만, 자녀를 차례로 출산하였으며 각각의 이름을 르우벤(아들이다), 시므온(들으셨다), 레위(결속) 그리고 유다(찬송)로 지으며 하나님께 자신의 원통함과 서러움을 아뢰었다고 볼 수 있다.
첫째 부인으로서 야곱에게 라헬에 대한 질투심을 드러낼 수도 있었지만, 그녀는 인고의 세월을 보냈던 것이다.
오히려 레아의 눈이 부드럽고 예뻤으며, 라헬은 양치는 일을 하는데 적절한 풍성하고 단단한 몸매가 아니었을까 생각해 볼 수 있겠다. 우리 나라 뿐 아니라, 고대 근동에서도 출산과 농사 일이나 양치는 일에 적절한 강인한 몸매가 미인의 기준이었음을 생각해 본다면 충분히 이해가 될 것이다. 경국지색의 미인인 당나라의 양귀비 역시 풍만한 몸매의 여성이었음을 기억해 보라.
[바알의 아내 혹은 딸로 알려진 아스다롯]
[아스다롯]
[아프로디테]
[비너스]
풍요와 다산을 상징하는 여신의 모습을 닮은 여인들이 고대 근동에서는 아름다운 여인(여성으로서의 역할에 적합한 여인)이었을 것이며, 그러한 면에서 라헬은 오늘날의 날씬한 미녀가 아닌 풍만한 몸매의 후덕한 여인이었을 것이다. 반면에 레아는 고대 근동의 여인상과는 다소 맞지 않는 몸매의 여성이었을 것이다.
따라서 레아에게 부족한 것은, 당시로서의 풍만한 몸매였을 뿐, 오늘날의 부드러운 이미지의 여인의 모습이 아니었을까? 이제 레아에 대한 외모적 편견을 버릴 때가 된 것 같다. 오히려 그녀의 부드러움과 인내의 신앙에 초점을 맞추어 생각해 보는 것이 더 유익할 것이다.
- Richards, S. P., & Richards, L. (1999). Every woman in the Bible. Includes indexes. (23). Nashville, Tenn.: T. Nelson Publishers. [본문으로]
- Hamilton, V. P. (1995). The Book of Genesis, Chapters 18|50. The New International Commentary on the Old Testament (258). Grand Rapids, MI: Wm. B. Eerdmans Publishing Co. [본문으로]
- Brown, F., Driver, S. R., & Briggs, C. A. (2000). Enhanced Brown-Driver-Briggs Hebrew and English Lexicon. Strong's, TWOT, and GK references Copyright 2000 by Logos Research Systems, Inc. (electronic ed.) (421). Oak Harbor, WA: Logos Research Systems. [본문으로]
- Baker, W. (2003, c2002). The complete word study dictionary : Old Testament (460). Chattanooga, TN: AMG Publishers. [본문으로]
- Gilchrist, P. R. (1999). 890 יָפָה. In R. L. Harris, G. L. Archer, Jr. & B. K. Waltke (Eds.), Theological Wordbook of the Old Testament (R. L. Harris, G. L. Archer, Jr. & B. K. Waltke, Ed.) (electronic ed.) (391). Chicago: Moody Press. [본문으로]
댓글